월출산은 전라남도 영암읍과 강진군 성전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가장높은 천황봉이 809m 이며 석영반암과 분암류로
구성되어 있어 수목이 잘 자랄수 없고 급경사의 지형을 이룬 기암괴석이 많아 남국의 소금강이라고 한다. 천황봉을 중심으로
남서쪽에 구정봉 (743m) 남쪽으로는 도갑산(376m) 월각산(456m) 등이 있으며 천황봉의 북쪽으로는 장군봉과 국사봉등이
연봉을 이룬다. 월출산은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신라땐 월니산 고려땐 월생산이라 불렀다 월출산은 그 아름다음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은 시인들의 칭송을 들어왔다. 그려 명종때의 시인 김극기는 “월출산의 많은 기이한 모습을 실컷
들었거니 그늘 지며 개고 추위와 더위가 서로 알맞도다. 푸른 낭떠러지와 자색의 골짜기에는 만 떨기가 솟고 첩첩한 봉우리는
하늘을 뚫어 웅장하며 기이함을 자랑 하누나” 라고 예찬하였다 그리고 조선 세조때의 시인 이며 생육신의 한사람인
김시습도 “남쪽고을의 한그림 가운데 산이 있으니 달은 청천에서 뜨지 않고 이 산간에 오르더라” 하고 노래 하였다.
월출산은 수많은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모습이 보기에 따라 하나의 거대한 수석이라고 할수도 있고 나쁘게 말하면 천하의
악산이라고 할수도 있다. 1973녀 3월 서남쪽 도갑산 지역을 합하여 월출산 도립공원으로 지정 되었다가 1988년 6월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우리나라 20번째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천황봉의 정상 기까이에는 거대한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국보제144호)이 방향의 감실이 만들어진 큰 암벽위에 조각되어 있고 이의 동쪽 사면엔 구절폭포가 서쪽 사면에는
용추폭포가 있다 이박에 칠지폭포 은천폭포등도 유명하다 이곳에는 유명한 사찰도 여럿 있는데 도갑사는 고려시대
도선국사가 창건한 고찰로 도갑사해탈문 (국보제50호)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보물제89호) 도갑사 수미비등이 있다
또 절의 입구에 있는 구림마을은 도선국사의 어머니 최씩가 빨래터서 떠내려오는 오이를 먹고 잉태하였다는 전설과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가지고 건너가 학문을 전하고 일본황실의 스승이 된 왕인과 관련된 전설이 많이 남아 있어
역사적으로도 이름난 곳이다.
기체육공원 주차장이고 들머리 임니다.
첨엔 육산으로 생각되니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전망대에 도착했읍니다.
산벛꽃이 아 아름답게 피었읍니다. 멀리 영암 시내가 보임니다
저멀리 천황봉이 보이지만 안개가 자욱히 끼었읍니다.
드디어 산성대에 도착했읍니다. 개방되기전엔 이곳까지만 등산이 허용되었는데 ~~
모험을 즐기는 울 국민들 이곳부터 천황봉까지는 아주 험한곳인데 등산하시는 분들이 계셨다는군요.
걸림 벌금 ㅋㅋㅋ 아차하는 순간 개밥도 안나오고 사망 같은곳인데~~~
기암 괴석들을 구경하면서 ~~~
이곳은 이제야 진달래가 피기 시작함니다.
오르고 내리고 이런 계단이 엄청많은데 ~~만일 없었다면 등산하기 힘들었을 텐데 어떻게 했을가?
저런 바위에 어떻게 솔나무가 자라고 있는가 신기함니다요.
지나온 능선을 바라보면 ~~~
저멀리 건너편에 이미 먼저 가신분이 계시는군요.
저위에 그 유명한 고인돌 바위가 보임니다.
참으로 신기하죠~~~
쉽게 연상이 되지 않지만 돌고래도 같습니다.
오르고 내리고 고단하지만 멀리 천황봉이 손에 잡힌듯 가까이 다가 옴니다.
또다시 오르고 내리고~~~
안전 시설이 없었을땐 어떻게 등산했을가요? 그것도 몰래~~ㅎㅎㅎ
한없이 내려 감니다. 그럼 또 얼마를 올라가야 되죠? 몸은 고단하지만 눈은 즐거워 함니다.
지나온곳을 뒤돌아보니 험한곳 많이도 왔읍니다.
공암삼거리 밑에 까지 다온기분임니다. 다음에 계속됨니다.